오늘은 예비군 연차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병역 의무를 다 한 후에도 국가를 위해 예비군 훈련을 받는 분들이 계시잖아요? 그런 분들에게 예비군 연차 확인은 필수적인 정보가 되죠. 이 글을 통해 예비군 연차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그 과정은 어떤지, 그리고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이 모든 것을 알고 나면 예비군 연차 확인은 아무것도 아니게 될 거예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예비군 연차 확인하는 방법
예비군 연차 확인, 이거 진짜 중요한 거 알죠? 예비군 복무 의무를 다하거나 소집 훈련을 받을 때 꼭 필요한 정보거든요. 이 정보 하나로 본인의 복무 상태랑 훈련 일정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려드릴게요. 먼저 인터넷에서 ‘예비군’이라고 검색하면 예비군 홈페이지가 바로 나오는데, 거기에 접속하시면 돼요. 그리고 화면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휴대폰 본인인증’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예비군 연차 확인을 시작할 수 있어요.

그리고 나서 ‘간편인증 로그인’ 버튼을 누르시면 되는데요. 여기서 본인이 편한 인증 방식을 선택하시면 돼요. 저는 카카오로 했는데, 아주 쉽더라구요. 이렇게 하면 예비군 연차 확인하는 데 필요한 두 번째 단계를 끝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메인페이지로 다시 돌아가서 ‘나의 정보’란을 찾아보세요.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훈련 정보’라는 메뉴가 보일 거에요. 그 메뉴를 클릭하시면 되는데요. 이렇게 하시면 예비군 연차 확인하는 세 번째 단계를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마지막 단계를 보게 됩니다. 화면 상단에서는 예비군 연차와 훈련 내용이 한눈에 들어오는데요. 본인이 어떤 곳에 소속되어 있는지, 군번은 무엇인지, 원격교육은 얼마나 들었는지, 그리고 훈련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기관 정보까지 확인이 가능하니, 마치 본인의 군생활 이력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겠죠. 이렇게 해서 예비군 연차 확인 과정이 끝나게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한 가지 팁을 드릴게요. 공가를 내고 예비군 훈련에 갔던 분들은 화면 우측 하단의 ‘교육필증’을 눌러보세요. 훈련소집필증을 출력하고 발급받을 수 있답니다. 이 정보는 참 유용하니 꼭 기억해두세요.
그런데, 여기서 더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어요. 예비군 연차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거든요. 그건 바로 ‘올해 – 전역년도’를 계산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 저는 19년도에 전역했으니, 올해인 23년에서 빼면 예비군 4년차가 되는 거죠. 이 방법도 한 번 시도해보세요.
예비군 연차 훈련일정
당해년도에 전역한 분들은 예비군 훈련 차례가 아직 안 왔어요. 1년차부터 4년차까지는 2박 3일 동안 동원훈련이나 동미참훈련을 받게 되고, 이때 간부예비군은 6년차까지 이 훈련을 받게 돼요.
그리고 5년차와 6년차에는 기본훈련 8시간, 작계훈련 12시간을 받게 되는데, 그 다음인 7년차부터 8년차까지는 예비군 훈련이 없답니다.
동원훈련이란, 현역부대에 입영해서 전시 임무를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훈련인데, 이 훈련은 일반 예비군이 4년차까지, 장교나 부사관 예비군은 6년차까지 진행된답니다.
그리고 동원훈련장은 보통 가까운 곳으로 배정되는데, 지역별 인원 편차로 인해 가끔 다른 지역의 예비군을 모아서 훈련을 진행하기도 해요. 이 점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예비군 훈련 보상비
이번에 6월 말에 예비군 훈련 다녀왔을 때 제가 받은 돈은 대략 8만 5천원 정도였어요. 이 숫자는 2023년 기준으로 입소하고 퇴소할 때의 교통비나 식비, 그리고 보상비가 다 합쳐진 금액이에요. 근데 이 보상금은 30km 이내로 이동했을 때의 금액이고, 거리가 더 멀면 당연히 보상도 더 늘어나요.
예비군 훈련 보상금은 예비군법 제 11조와 예비군법 시행령 제27조에 따라서 정해지는데요, 여기에는 교통비나 식비 등도 포함되어 있어요.
그리고 올해 예비군 훈련 보상금은 좀 특별해요. 지역 예비군 훈련비는 식사를 할 경우에 8천원을, 식사를 안 할 경우에는 1만5천원을 주고 있어요. 이런 정보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예비군 불참하면?
동원훈련 불참하면 병역법에 따라 고발당하는 거 아시죠? 하지만 작계훈련이나 기본훈련, 동미참훈련 같은 경우는 좀 다르게 돼요. 이들을 불참하면 그냥 훈련 차수가 한 단계씩 늘어나는 거에요. 그러나 3차 훈련까지도 무단으로 불참하면 이때는 고발당하게 됩니다. 이런 부분은 꼭 기억하셔야 해요. 이런 사항들도 잘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동원훈련 준비물
군복, 군모, 전투화, 고무링 같은 것들은 당연히 준비해야 하는 거 아시죠? 그 외에도 신분증(운전 면허증도 됩니다), 양말, 세면 도구(수건, 샴푸, 로션, 칫솔, 치약, 면도기), 충전기, 썬크림 같은 것들도 챙기시는 게 좋아요. 그리고 보조 배터리는 꼭 가져가세요.
멀티탭이 없을 수도 있고, 콘센트가 방 끝에 있어서 충전하기 어려울 수 있거든요. 그리고 귀마개(이어플러그)는 정말로 꼭 가져가세요.
같이 생활하는 사람 중에 코고는 사람이 있으면 잠자기가 힘들 수 있어요. 이런 것들도 잘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예비군 훈련에 필요한 모든 걸 살펴봤어요. 연차 확인하는 방법이나 인터넷으로 어떻게 조회하는지, 훈련 일정, 보상비, 그리고 필요한 준비물까지 다 알아봤네요. 한여름에 예비군 훈련에 나가시는 분들, 정말 고생 많으십니다.
이 글을 보시고 안전하고 편하게 훈련 받으시길 바랄게요. 다음에는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