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군 연차 확인 및 훈련일정 준비물 가이드

오늘은 예비군 연차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병역 의무를 다 한 후에도 국가를 위해 예비군 훈련을 받는 분들이 계시잖아요? 그런 분들에게 예비군 연차 확인은 필수적인 정보가 되죠. 이 글을 통해 예비군 연차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그 과정은 어떤지, 그리고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이 모든 것을 알고 나면 예비군 연차 확인은 아무것도 아니게 될 거예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예비군 연차 확인하는 방법

예비군 연차 확인, 이거 진짜 중요한 거 알죠? 예비군 복무 의무를 다하거나 소집 훈련을 받을 때 꼭 필요한 정보거든요. 이 정보 하나로 본인의 복무 상태랑 훈련 일정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려드릴게요. 먼저 인터넷에서 ‘예비군’이라고 검색하면 예비군 홈페이지가 바로 나오는데, 거기에 접속하시면 돼요. 그리고 화면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휴대폰 본인인증’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예비군 연차 확인을 시작할 수 있어요.

예비군 연차

그리고 나서 ‘간편인증 로그인’ 버튼을 누르시면 되는데요. 여기서 본인이 편한 인증 방식을 선택하시면 돼요. 저는 카카오로 했는데, 아주 쉽더라구요. 이렇게 하면 예비군 연차 확인하는 데 필요한 두 번째 단계를 끝낼 수 있습니다.

예비군 연차 확인

다음은 메인페이지로 다시 돌아가서 ‘나의 정보’란을 찾아보세요.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훈련 정보’라는 메뉴가 보일 거에요. 그 메뉴를 클릭하시면 되는데요. 이렇게 하시면 예비군 연차 확인하는 세 번째 단계를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군 연차 훈련

이제 마지막 단계를 보게 됩니다. 화면 상단에서는 예비군 연차와 훈련 내용이 한눈에 들어오는데요. 본인이 어떤 곳에 소속되어 있는지, 군번은 무엇인지, 원격교육은 얼마나 들었는지, 그리고 훈련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기관 정보까지 확인이 가능하니, 마치 본인의 군생활 이력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겠죠. 이렇게 해서 예비군 연차 확인 과정이 끝나게 됩니다.

예비군 훈련 보상비

그리고 여기서 한 가지 팁을 드릴게요. 공가를 내고 예비군 훈련에 갔던 분들은 화면 우측 하단의 ‘교육필증’을 눌러보세요. 훈련소집필증을 출력하고 발급받을 수 있답니다. 이 정보는 참 유용하니 꼭 기억해두세요.

그런데, 여기서 더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어요. 예비군 연차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거든요. 그건 바로 ‘올해 – 전역년도’를 계산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 저는 19년도에 전역했으니, 올해인 23년에서 빼면 예비군 4년차가 되는 거죠. 이 방법도 한 번 시도해보세요.

예비군 연차 훈련일정

당해년도에 전역한 분들은 예비군 훈련 차례가 아직 안 왔어요. 1년차부터 4년차까지는 2박 3일 동안 동원훈련이나 동미참훈련을 받게 되고, 이때 간부예비군은 6년차까지 이 훈련을 받게 돼요.

그리고 5년차와 6년차에는 기본훈련 8시간, 작계훈련 12시간을 받게 되는데, 그 다음인 7년차부터 8년차까지는 예비군 훈련이 없답니다.

동원훈련이란, 현역부대에 입영해서 전시 임무를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훈련인데, 이 훈련은 일반 예비군이 4년차까지, 장교나 부사관 예비군은 6년차까지 진행된답니다.

그리고 동원훈련장은 보통 가까운 곳으로 배정되는데, 지역별 인원 편차로 인해 가끔 다른 지역의 예비군을 모아서 훈련을 진행하기도 해요. 이 점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예비군 훈련 보상비

이번에 6월 말에 예비군 훈련 다녀왔을 때 제가 받은 돈은 대략 8만 5천원 정도였어요. 이 숫자는 2023년 기준으로 입소하고 퇴소할 때의 교통비나 식비, 그리고 보상비가 다 합쳐진 금액이에요. 근데 이 보상금은 30km 이내로 이동했을 때의 금액이고, 거리가 더 멀면 당연히 보상도 더 늘어나요.

예비군 훈련 보상금은 예비군법 제 11조와 예비군법 시행령 제27조에 따라서 정해지는데요, 여기에는 교통비나 식비 등도 포함되어 있어요.

그리고 올해 예비군 훈련 보상금은 좀 특별해요. 지역 예비군 훈련비는 식사를 할 경우에 8천원을, 식사를 안 할 경우에는 1만5천원을 주고 있어요. 이런 정보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예비군 불참하면?

동원훈련 불참하면 병역법에 따라 고발당하는 거 아시죠? 하지만 작계훈련이나 기본훈련, 동미참훈련 같은 경우는 좀 다르게 돼요. 이들을 불참하면 그냥 훈련 차수가 한 단계씩 늘어나는 거에요. 그러나 3차 훈련까지도 무단으로 불참하면 이때는 고발당하게 됩니다. 이런 부분은 꼭 기억하셔야 해요. 이런 사항들도 잘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동원훈련 준비물

군복, 군모, 전투화, 고무링 같은 것들은 당연히 준비해야 하는 거 아시죠? 그 외에도 신분증(운전 면허증도 됩니다), 양말, 세면 도구(수건, 샴푸, 로션, 칫솔, 치약, 면도기), 충전기, 썬크림 같은 것들도 챙기시는 게 좋아요. 그리고 보조 배터리는 꼭 가져가세요.

멀티탭이 없을 수도 있고, 콘센트가 방 끝에 있어서 충전하기 어려울 수 있거든요. 그리고 귀마개(이어플러그)는 정말로 꼭 가져가세요.

같이 생활하는 사람 중에 코고는 사람이 있으면 잠자기가 힘들 수 있어요. 이런 것들도 잘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예비군 훈련에 필요한 모든 걸 살펴봤어요. 연차 확인하는 방법이나 인터넷으로 어떻게 조회하는지, 훈련 일정, 보상비, 그리고 필요한 준비물까지 다 알아봤네요. 한여름에 예비군 훈련에 나가시는 분들, 정말 고생 많으십니다.

이 글을 보시고 안전하고 편하게 훈련 받으시길 바랄게요. 다음에는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